목록iOS (133)
k-coding
Swift 튜플 (TUPLE) 다양한 값들의 묶음으로 , 한 묶음안에 데이터 타입들이 같은 필요 없고, 개수 제한도 없다. 기본적으로는 var 변수명 : (데이터 타입1, 데이터 타입2, 데이터 타입3) = ( 값1 , 값2 , 값3) 과 같은 형태로 구성한다. 예제 ) var tuple_1 :(String,Int,Int) = ("choiKi",19,25) var tuple_2 = ("choiKi",19,25) 튜플에는 튜플의 값들을 변수에 넣어줄 수 있다. 예제 ) var tuple = ("choiKi","Swift",1) var (name,language,days) = tuple print("제 이름은 \(name)이고 현재 \(language)를 공부한지 \(days)일차 입니다.") // 결과 -..
Swift 변수, 상수 변수 ( variable ) -> var - 필요에 따라 저장된 값을 초기화하고 변경할 수 있다. - 변경시에 초기에 저장된 변수의 타입이 바뀌면 안 된다. 상수 ( constant ) -> let - 한번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예제 ) var age = 25 // 해 마다 변하는 변수 let name = "choiKi" // 바뀌지 않는 이름 다음과 같이 타입 작성도 가능하다 -> (변수/상수) (변수명) : (변수 타입) = (초기 값) 예제 ) var age:Int = 25 let name:String = "choiKi" 하지만 swift는 스스로 타입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타입을 입력해주지 않아도 알아서 입력이 된다. 다른 타입끼리 결합 swift언어는 다른..

swift 반복문 swift에서도 다른 native 언어인 kotlin과 마찬가지로 반복문에 for문을 사용한다. 하지만 조금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kotlin에서 1부터 10까지 반복하는 for문은 for (i in 1 .. 10){ //반복하는 내용 } 이라면 swift에서는 for i in 1 ... 10 { //반복하는 내용 } 과 같은 형식으로 for옆에 조건문에 () 소괄호가 존재하지 않고 ...도 3개를 찍어야 한다. 예시 ) for문으로 내 이름을 10번 찍어보기 for i in 1 ... 10{ print("\(i) : 최기훈") } 실행 결과 swift에서는 for loop문으로 특정한 범위를 지정해서 지정한 범위만큼 범위를 돌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시..